2018.04.20 06:09
한민족의 이칭(異稱)_황이黃夷
◾“三氏苗裔, 又細分九派, 卽畎夷. 嵎夷. 方夷. 黃夷. 白夷. 赤夷. 玄夷. 風夷. 暘夷之屬, 皆異支同祖, 不甚相遠. 夷之爲言, 大弓之稱也. 盖自蚩尤氏作刀. 戟. 大弩以後, 狩獵征戰, 賴以爲武, 中土諸族, 甚畏大弓之用, 聞風膽寒者久矣. 故謂我族曰夷.《說文》所謂: 「夷, 从大从弓, 東方之人」者, 是也. 乃至仲尼《春秋》之作, 而夷之名, 遂與戎狄幷爲腥조之稱, 憤哉! 後世畎夷, 風夷, 分遷西南, 恒與中土諸族, 互相頡頏, 風夷則卽蚩尤氏之一族也.” -『揆園史話(규원사화)』太始紀(태시기)
삼씨(三氏)[치우씨, 고시씨, 신지씨]의 후예들은 또한 아홉 갈래로 자세하게 나누어지는데, 곧 견이(畎夷)·우이(嵎夷)·방이(方夷)·황이(黃夷)·백이(白夷)·적이(赤夷)·현이(玄夷)·풍이(風夷)·양이(暘夷)의 무리들이 모두 같은 조상의 다른 가지일 뿐, 서로 그리 멀지는 않다. ‘이(夷)’자는 큰 활을 지칭하는 것이다. 치우씨가 칼과 창이며 큰 쇠뇌를 만들기 시작한 이후로 사냥하고 전쟁함에 있어서 이러한 것을 병장기로 삼으니 중토의 뭇 부족들이 큰 활의 쓰임을 매우 두려워하였으며, 그 위풍을 듣고 간담이 서늘하곤 한 지가 오래되었기에 우리 민족을 일컬어‘이(夷)’라고 한 것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이르기를“이(夷)는‘크다(大)’는 것과‘활(弓)’에서 유래하였으며, 동방의 사람을 말한다”라고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중니가《춘추》를 짓기에 이르러 이(夷)의 이름을 마침내 융(戎)이나 적(狄) 등과 아울러 비속한 명칭으로 삼아 버리니, 분할 따름이다. 뒷날 견이와 풍이는 따로 서남으로 옮겨가서 항시 중토의 여러 부족들과 서로 엎치락 뒷치락 세력을 다투었는데, 풍이는 바로 치우씨의 일족이다.
◾“동이東夷는 아홉 종족이 있으니, 견이畎夷 · 우이于夷 · 방이方夷 · 황이黃夷 · 백이白夷 · 적이赤夷 · 현이玄夷 · 풍이風夷 · 양이陽夷 등이다.” - 『후한서後漢書』동이전(東夷傳)
◾“구이가 와서 조회하니 견이(畎夷), 우이(于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백이(白夷), 적이(赤夷), 현이(玄夷), 풍이(風夷), 양이(陽夷)였다.”- 『고본죽서기년』 후분 3년
◾《紀年》曰:(帝相)元年,征淮夷。《太平御覽》卷八二皇王部 (《竹書紀年》曰):-{后}-相即位,二年,征黃夷。《後漢書·東夷傳》注 《竹書紀年》曰:(相)二年,征黃夷。《通鑑外紀》卷二 (《竹書紀年》曰):(-{后}-相)七年,於夷來賓。《後漢書·東夷傳》注 《紀年》曰:(相)七年,(干夷來賓)。-『고본죽서기년』하기
후상 즉위 2년에 황이를 정벌했다.
◾己丑,帝即位,居斟尋。 秋九月庚戌朔,日有食之。命胤侯帥師征羲和。 錫昆吾命作伯。 陟。 世子相出居商丘,依邳侯。 戊戌,帝即位,居商。征淮夷。 征風及黃夷。 於夷來賓。 寒浞殺羿,使其子澆居過。 相居於斟灌。 商侯相土作乘馬。遂遷於商丘。 寒浞滅戈。 寒浞使其子帥師滅斟灌。 澆伐斟鄩,大戰於濰,覆其舟,滅之。-)。-『금본죽서기년』하기
◾《後漢書 西羌傳》云:后相即位,元年,乃征畎夷。」 〔二0〕二年,征風、黃夷。七年,于夷來賓。注:並《紀年》。《後紀》卷一三上案:《太平御覽》卷八二引《紀年》云:「帝相即位,……二年,征風夷及黃夷。」《後漢書 東夷傳》注引《竹書紀年》云:「七年,于夷來賓。」 -『죽서기년』부문5
◾《後漢書 西羌傳》:「后相即位,乃征畎夷。」此僅采《御覽》所引。 二年,征風及黃夷。(《御覽》八十二及《後漢書 東夷傳》注引《紀年》:「二年,征風夷及黃夷。」《通鑑外紀》引:「二年,征黃夷。」) 七年,于夷來賓。(《後漢書 東夷傳》注、《外紀》注、《路史 後紀》十三注均引《紀年》:「七年,于夷來賓)。-『죽서기년』부문5
▼<갑골문 ‘巫九’와 《竹書紀年》등에 보이는 ‘九夷’와의 관계 연구>-11,12쪽/김경일
아래 자료에는 하(夏)나라 시기에 황이가 많이 등장합니다.
황씨세계에서는 황성(黃姓)의 도등이 황조(黃鳥)인데 황조는 봉황(鳳凰)이다. 황족(皇族)은 황이족(黃夷族)[모계족]과 봉이족(鳳夷族)의 통혼(通婚)된 씨족이라하여 봉황을 신도등형상(神圖騰)으로 하고, 신기하고 금황옥채(金黃玉彩)로 구비한 봉황을 성조(聖鳥)로 숭배하고 황조(黃鳥)의 신성적(神聖) 형상은 봉황이라고 황인(黃人)들은 우상시하였다.
동이원류사의 도표에 의하면 東夷-黃夷-黃族-黃人-黃國-黃氏(姓)이 말미암았고, 동이시대로부터 봉황새를 도등숭배(씨족의 상징으로 숭배하는 자연동물)한 기록이 사기 하본기의 고증으로 봉황새는 세계 황성의 상징이고 세계 황씨의 성조(姓鳥)라고 한다. 이 내용을 토대로 하면 황이는 결국 조이(鳥夷)이다.
아래 자료에 의하면 황이의 발원지는 내몽고 동부 연산 남쪽의 遼河 西源 西拉木倫河流域이다. 옛 유주일대(幽州一帶)이다.
【在遠古蒙昧洪荒時代的中國東部地區,有許多以鳥為圖騰的原始人群,生活在這一廣大地區,典籍稱之為東夷。其中有九支氏族最為強盛,組成為部落聯盟集團,史書稱其為九夷。據史籍《古本竹書紀年》,這九夷是畎夷、於夷、方夷、黃夷、白夷、赤夷、玄夷、鳳夷、陽夷。其中的黃夷氏族,就是黃姓的最古老的族源。黃夷是因為崇拜黃鳥而得此名。其發源地在今內蒙古東部、燕山之南的遼河西源西拉木倫河流域。遠古時代,在燕山南面的古幽州一帶,棲息著各種鳥類,其中有一種後人稱為黃鸝、黃鶯的黃鳥。這種黃鳥,不僅小巧精靈,色澤艷麗,而且叫聲清脆,婉轉悅耳。因對黃鳥的喜愛之情,轉而變為尊敬,後來發展至頂禮膜拜,就把它當作自己氏族的守護神和標誌,因而也就成為這一氏族的圖騰。這個氏族就叫做黃鳥族、黃氏族,簡稱為黃夷、黃族、黃人,成為東夷族鳥夷的一支。
黃夷南下中原,黃夷的後代建立了黃國。 《竹書紀年》載:(夏)後相即位,二年,徵黃夷。
黃夷的發源地在今內蒙古東部、燕山之南的遼河西源——西拉木倫河流域。後來向東南遷徙,經河北遷安縣西的黃山和束鹿縣的黃丘進入山東半島,加入東夷集團,成為九夷中的一支。再往後,在華夏與東夷的大融合之中,黃夷和其他許多少昊子孫氏族,跟隨顓頊從山東半島內遷到了中原地區。-参考资料 『汉典』】*번역이 필요함.
【】출처: https://baike.baidu.com/item/%E9%BB%84%E5%A4%B7
【조이의 한 갈래로 황이가 있었는데 초나라에 망한 뒤로 남쪽으로 이동하여 일부가 장壯족이 되었습니다 . 장족은 중국 소수 민족 중 인구가 1,600만여 명으로 가장 많고 , 주요 분포지인 광서장족자치구에 장족 총 인구의 88%가 거주합니다 . 그 거주지역은 산이 많고 평지가 적으며 산 , 구릉이 대부분입니다 . 선진 시대 양자강 중하류 이남에서 동남 연해지대에 백월이라 불리며 광범위하게 분포해 있었는데 서구 , 낙월이 그 중의 일부입니다 . 다신을 신앙하여 천신 , 뇌신 , 토지신 , 거석신 , 수신 등을 숭배합니다 . 포락타 (장족 말로 ‘산 속 노인 ’, ‘모르는 것이 없는 노인 ‘이란 뜻 )라고 하는 신화의 인물을 시조로 받듭니다 .】[출처 : 상생출판 환단고기 역주본]
【黃黃姓的主源有兩支,均系以國為氏:一支出於金天氏少昊。傳說上古時少昊的裔孫台駘,任水官之職,帝顓頊在位時,被封在汾水(在今山西省汾水流域),成為汾水中的水神。台駘的子孫後來分別建立了沈、黃等幾個小國。其中的黃國在春秋時為晉所滅,黃國的子孫以國為姓,奉台駘為黃姓始祖。另外一支出於嬴姓伯益。伯益在虞舜時為東夷部落的首領,因幫助大禹治水有功,被舜賜姓嬴氏。相傳伯益的後裔有14支,合稱嬴姓十四氏。其中的黃氏在商末周初在今河南潢川建立黃國。公元前648年,黃國為楚所滅,黃國子孫以國名為氏,姓黃。有的姓氏書中說這支黃姓是陸終的後代。陸終也是嬴姓,陸終的後代,受封於黃(今河南潢川縣西),公元前648年為楚所滅,子孫以國為氏。查考古書,伯益是顓頊的玄孫,陸終也是顓頊的玄孫。因此,無論這支黃姓出於伯益還是出於陸終,都是帝顓頊的後代,屬以國為氏之姓。
황성의 주원류는 두 가지가 있는데, 대체로 나라이름으로 氏를 삼았다는 것이다.
하나는 금천씨소호다. 전설상으로 옛날 소호의 후손 台駘(대태)가 수관의 직위에 임명되었는데, 제 전욱 재위시 분수汾水(오늘날 산서성 분수유역)에 봉해져, 분수의 수신이 되었다. 台駘의 자손은 후에 각각 沈、黃등의 소국들을 세웠다. 그중 황국은 춘추시기 진晉에게 망했고, 황국의 자손은 국명으로 姓을 삼았는데 台駘를 황국의 시조로 받들었다.
그 밖에 영嬴성 백익 지류가 있다. 백익은 우순虞舜시기에 동이부락의 수령으로 우의 치수사업을 도운 공이 있어 순에 의해 영씨로 사성을 받았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백익의 후손에 14개 지류가 있는데, 합하여 영성 14氏라 칭한다. 그 중 황씨는 상나라 말 주나라 초기에 하남성 황천에 황국을 세웠다. 기원전 648년 황국은 초에 망하고 황국자손은 국명으로 씨를 삼았다.
어떤 성씨책에는 황성이 육종의 후대로 육종 또한 영성이며 육종의 후대가 황을 봉읍받았다한다. 고서책에 찾아보면 백익은 전욱의 현손으로 육종 또한 전욱의 현손이라 한다. 이에 황성이 백익에서 나왔든 육종에서 나왔든 모두 전욱의 후대이며 국명으로 씨를 삼은 姓 이다.
黃姓與本族遠古先民對天然黃色的感悟有關。古人就以青、黃、赤、白、黑五色作為主要的顏色,並配上方位:青一東,黃一中,赤一南,白一西,黑一北。黃色的方位,正好在東南西北四向的中央。古老的中原大地,遍地皆黃,還有奔騰千裏的黃河。
黃姓的古代先民,是一個崇拜黃色事物的氏族,故自稱黃人黃族。他們先有了黃色的概念、辭彙,但卻沒有表示這一概念的文字;而喜愛黃色事物的這個“黃族”氏族,恰好他們又喜愛佩玉,于是,他們就以能反映本氏族特征的佩玉的圖形符號來代表他們的氏族,這樣,原來是表示佩玉的“黃”字,被借來表示黃色,成為黃色的符號,也成為表示黃人的標志。文字隨著歷史的演變,黃字的本義早已成為了歷史,後人常用的卻是它的假借義。
以下具體介紹幾種黃姓的來源:
一、來源于少昊氏,在遠古蒙昧洪荒時代的中國東部地區,有許多以鳥為圖騰的原始人群,生活在這一廣大地區,典籍稱之為東夷。其中有9支氏族最為強盛,組成為部落聯盟集團,史書稱其為九夷。據《古本竹書紀年》,這九夷是畎夷、于夷、方夷、黃夷、白夷、赤夷、玄夷、鳳夷、陽夷。其中的黃夷氏族,就是黃姓的最古老的族源。
黃夷是因為崇拜黃鳥而得此名。其發源地在今內蒙古東部、燕山之南的遼河西源西拉木倫河流域。遠古時代,在燕山南面的古幽州一帶,棲息著各種鳥類,其中有一種後人稱為黃鸝、黃鶯的黃鳥。這種黃鳥,不僅小巧精靈,色澤艷麗,而且叫聲清脆,婉轉悅耳。《詩·周南·葛覃》的第一節這樣描寫:“葛之覃兮,施于中谷,維葉萋萋。黃鳥于飛,集于灌木,其鳴喈喈。”對于長期採集、狩獵在山林中的原始先民們來說,這小巧活潑的小黃鳥,它們成群地在空中林間飛騰、跳躍、嗚叫,給先民們帶來天籟般的諧趣和原始愉悅。他們對黃鳥的喜愛之情,轉而變為尊敬,後來發展至頂禮膜拜,就把它當作自己氏族的守護神和標志,因而也就成為這一氏族的圖騰。這個氏族就叫做黃鳥族、黃氏族,簡稱為黃夷、黃族、黃人,成為東夷族鳥夷的一支。
黃氏族人所居之地,地名多帶黃字。遼河西源西拉木倫河,古代叫黃水,後來才改為“潢水”。《熱河志》卷七十一潢河:“《新唐書》始作潢字,遼金史因之。《清一統志》原本謂別于西黃河,故曰潢。”後來,黃人由內蒙東部向東南方向遷徙,經河北遷安縣西的黃山和束鹿縣的黃丘進入山東半島,加入東夷集團,成為九夷之一的黃夷。今山東黃縣東南有古黃城,掖縣南有黃山,興博縣有黃山,黃阜、濟南西南60裏也有黃山。這一帶就是遠古黃夷棲息活動的地區。
황이는 황조를 숭배해서 얻은 이름이다. 발원지는 오늘날 내몽고 동부, 연산의 남쪽에 위치한 요하 시라무룬강 유역이다. 옛날에는 연산남쪽의 고유주古幽州 일대에 각종 조류가 서식하였고 그중 후인들이 칭하는 노란 꾀꼬리(까마귀과의 새)의 황조가 있다. 이 황조는 ............
이 씨족은 황조족, 황씨족으로 불리우고 황이, 황족, 황인으로 간칭하여 동이족 조이의 한 지류가 되었다.
황씨족이 거주하는 지역에는 황자가 많다. 요하 서원 시라무렌강은 고대에 황수라 불렸는데 후에 潢水라고 고쳤다. <열하지>권 71 潢河는 “<신당서>에서 潢자로 시작하여....<청일통지>원본에는 西黃河.....” 후에 황인들은 내몽고 동부에서 동남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북성 천안현서쪽의 황산과 속려현의 황구를 거쳐 산동반도에 진입하여 동이집단에 들어가 구이의 하나인 황이가 되었다. 오늘날 산동 황현 동남에 고황성이 있고, 액현 남쪽에 황산이 있고 흥박현에 황산이 있고 황구, 제남 서남 60리에도 황산이 있다. 이 일대가 바로 고대 황이가 활동하든 지역이었다.
在東夷集團中,黃人的勢力發展非常迅速,很快就成為東夷集團中勢力強大的一支,因而被推尊為部落聯盟首領。在野蠻時代中期,東夷部族集團由鳳夷氏族的少昊金天氏為部落聯盟大首領時,黃夷就與風夷結成了婚姻氏族,後來又加入了少昊部落。當時,東夷集團都普遍崇拜鳥。由于東夷集團大首領少昊氏族的圖騰是鳳,因此鳳便成為百鳥之王,成為了神鳥。鳳鳥中有一種雌性的鳥,叫做皇(後來寫作凰)。這種鳥與黃鳥一樣,通身都鮮艷亮麗的黃色羽毛,而且這兩種鳥名的讀音完全相同。皇鳥是鳳鳥的配偶,恰巧黃夷又是鳳夷的婚姻氏族。這些相同、相似、相通之處,黃人便自然地用凰鳥來取代原來作為氏族圖騰的普通小黃鶯,崇拜的對象改成了凰鳥。這樣,黃鳥變成了皇(凰)鳥,黃夷的圖騰由黃鸝鳥變為金鳳凰。
동이집단가운데 황인의 세력이 커져 매우 빠르게 동이집단중 강대한 지파가 되었고 부락연맹의 수령으로 추존되었다. 야만시대 중기에 동이부족집단은 봉이鳳夷씨족의 소호금천씨가 부락연맹의 대수령이 되었을 때 황이는 풍이와 혼인씨족을 결성하여 후에 소호부락으로 들어갔다. 당시 동이집단은 보편적으로 새를 숭배하고 있었다. 동이집단 대수령인 소호씨족의 토템은 봉鳳이었으므로 봉鳳은 새 중의 왕이 되었다. 봉조중에는 암컷의 새가 있는데 황皇이라 하였다.(후에 凰으로 썼다), 이 새와 황조는 같다. 전신이 ......황색의 깃털이고 이 두 종류의 새이름의 독음이 완전히 같다. 황조皇鳥는 봉조의 배우자로, 공교롭게도 황이는 봉이의 혼인씨족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사점은 황인이 자연스럽게 황조凰鳥로써 원래 씨족 토템이었든 보통 작은 꾀꼬리를 대체하였으며 숭배의 대상도 凰鳥로 바뀌었다.이렇게 黃鳥는 皇(凰)鳥로 바뀌어 황이의 토템이 노란 꾀꼬리에서 금봉황으로 바뀌게 되었다.
當歷史進入到野蠻時代中期,大約是炎黃之世時,東方黃夷部落部分成員陸續內遷到了華北平原和黃河中下遊地區時,展現在他們眼前的盡是一片黃色:黃色的平原,黃色的山巒,還有橫穿北部中國的黃色的大河,人們便崇拜起大地和大河並把這條河叫做黃河。
由于黃人內遷中原,用原本是黃鸝鳥的顏色“黃”字來指稱大地的顏色,所以才有了《說文解字》“黃,地之色也”的釋義。
黃人加入東夷集團後,與少昊氏結成了婚姻氏族的關系。後來,少昊氏族勢力越來越強大,少昊就成為東夷部落集團的大首領,這樣,黃夷降而為少昊部落的附屬氏族,它與少昊鳳鳥族的關系也由婚姻氏族變為父子氏族。因此,黃夷便以少昊為本族始祖。《宋學士集》說:少昊世代為水官之長,顓頊時他被封于汾川,後世尊其為汾水之神。春秋時台駘的後裔建立了沈、姒、蓐、黃等國,後被晉國一一滅掉,其中黃國的公族子孫以國為姓,成為黃姓的一支,晉國的黃淵便是其後裔。
야만시대 중기에 이르러 염황지세 시기에 동방 황이부락의 일부는 지속적으로 화북평원과 황하 중하류로 이동하였는데 모든 것이 황색이었다. ....그래서 황하라 불렀다.
황인들이 중원으로 이동하여 원래 노란 꾀꼬리의 색 黃자를 대지의 색으로 칭함으로써 설문해자에 “황은 땅의 색”이라고 해석되었다.
황인들이 동이부락으로 집입한 후에 소호씨와 혼인씨족의 관계를 맺었다. 후에 소호씨족 세력이 커지자 소호는 동이부락집단의 대수령이 되었고 황이는 소호부락의 부속씨족이 되었다. 그들과 소호봉조족의 관계또한 혼인씨족에서 부자씨족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하여 황이는 소호를 종족의 시조로 삼게 되었다. 《宋學士集》에서 말하길: 소호는 대대로 물을 관장하는 장이 되어 전욱시기에 분천에 봉해서 후세에 분수의 신이 되었다. 춘추시대 台駘의 후예는 沈、姒、蓐、黃등의 나라를 세워 후에 진국에 의해 멸망하였다. 그중 황국의 公族자손은 나라를 성으로 삼아 황성의 한 지류가 디었다. 진국의 黃淵황연이 바로 그 후예다.
少昊,大約生當炎黃之世,是一位極富傳奇色彩的神話人物。關于他的事跡,各種典籍的記載不盡一致,光是他的名字,各種典籍就有很多種不同的寫法,如“少昊”、“少皓”、“少皋”、“少嗥”、“睥”、“少阜”、“少暉”等,還有不同的稱呼,如稱為“朱宣”、“白帝”、“西皇”、“金天氏”、“窮桑氏”等。
據《左傳》、《帝王世紀》記載,少昊名叫摯。他的母親,《帝王世紀》說是“女節”,《拾遺記》說是“皇娥”。《春秋元命苞》載:黃帝之時,有大星如虹,下流華渚(今河北鹽山東南),女節在夢中幻覺這顆巨大的流星落在身上,意感而生下了少昊。《拾遺記》卷一則更有一段神奇而纏綿的敘述:皇娥處璇宮而夜織,或乘桴木而晝遊,當她來到窮桑的蒼茫之浦時,遇到一位神童,他的容貌俊美絕俗,自稱是白帝之子,即太白星之精。這位太白星化身的美少年,下凡降落在蒼茫水邊。他與皇娥相遇,便一見鍾情。帝子與皇娥並坐,撫桐峰梓瑟,皇娥依瑟而清歌,白帝子答歌,從此與皇娥嬉戲宴遊,樂而忘歸。享受了一段浪漫生活之後,皇娥便懷有身孕,後來生下一位聖子,取名叫“摯”。因生于窮桑,又取名為“窮桑氏”,也叫“桑丘氏”。這就是黃姓的遠古始祖。
少昊摯長大後,成為東夷族鳥夷的首領,後來氏族壯大,當上了東夷部落聯盟首領,便從原來的住地窮桑(今山東曲阜一帶)遷都曲阜。
少昊族是古史上確切記載以鳥為圖騰的氏族。《左傳·昭公十七年》記載郯子談上古的氏族標記時雲:“我高祖少嗥摯之立也,鳳鳥適至,故紀于鳥,為鳥師而鳥名。”這是說,少昊即位之日,有風飛集于庭,少昊氏認為這是祥瑞之兆,因此以鳳鳥為族神,以鳳鳥為圖騰,以鳥給各個氏族命名,稱自己氏族為“鳳鳥氏”。《拾遺記》也有與此大致相同的一段話:“及皇娥生少昊,號曰窮桑氏,一號金天氏。時有五鳳,隨方之色,集于帝庭,因曰鳳鳥氏。”
《左傳·昭公十七年》對少昊的功績,有比較具體的記載:“鳳鳥氏歷正也,玄鳥氏司分者也,伯趙氏司至者也,青鳥氏司啓者也,丹鳥氏司閉者也……利器用,正度量,夷民者也。”大意是,鳳鳥氏,就是掌管天文歷法的官;玄鳥氏,是掌管春分秋分的官;伯趙氏,是掌管夏至冬至的官;青鳥氏,是掌管立春立夏的官;丹鳥氏,是掌管立秋立冬的官……改善器物用具,統一尺度容量,讓百姓得到平均的。這段話記載了少昊測量天象、製定歷法、發展生產、訂立製度標準的功績。在歷正、司分、司至、司啓、司閉這五種鳥宮中,比起司分(春分與秋分)、司至(夏至與冬至)、司啓(上半年的立春與立夏)、司閉(下半年的立秋立冬)來,鳳鳥氏是觀象授時、確定歷法的主體,故雲“鳳鳥氏歷正”。這是少昊氏最大的功績。《路史·後記》也說少昊氏是中國古代最早確定星宿的部族,曾“法度量,調氣律,行二十有八宿”,還將北辰列為最尊貴的星位。後世以星宿定部族區域,以星定人,均源于此。少昊氏還是一個會創作樂曲的氏族,史稱少昊曾作樂名曰《九淵》。
另外,大量的神話傳說也以各種神異的模式敘述了少昊在測量天象、製定歷法方面的主要功績。《帝王世紀》說,少昊當東夷部落聯盟領袖,一直當了一百年後才去世。】
【】원문출처:http://wechat.kanfb.com/archives/33962 (김현주번역)